![]() |
6월민주항쟁 35주년 기념 부산시민문화제 “유월로” 출연자 모집 공고 | ||
---|---|---|---|
![]() |
963 |
![]() |
관리자 |
![]() |
2022-05-09 오후 4:18:33 |
![]() |
322 회 |
![]() |
[서식]6월민주항쟁35주년기념시민문화제 공모.hwp |
||
![]() ![]() 6월민주항쟁 35주년 기념 부산시민문화제 “유월로” 모집공고 1987년, 6월! 불꽃같던 그 여름은 벌써 3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민주사회로 향한 길은 결코 순탄하지 못했습니다. 자행된 국가폭력으로 인해 사망한 박종철 열사, 직사된 최루탄으로 인해 좌천동 고가도로에서 떨어진 이태춘 열사, 독재정권과 광주학살의 책임을 묻다 산화한 황보영국 열사 등 수없이 아까운 목숨들이 별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광장에서, 가톨릭센터 옥상에서, 함께하는 사람들과 모여서 외치고 싸우고 노래하였습니다. 민주와 인권을 외치며 우리사회 곳곳에 인권과 공존의 가치를 뻗어 나갔고, ‘우리의 소원은 민주, 우리의 소원은 통일’을 노래하며 정권존속을 위해 대결구도로 남북관계를 끌어가며 반공이라는 이름으로 통일을 반역시 하던 국가정책에도 국민의 바람을 더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쟁취한 대통령 직접선거와 절차적 민주주의. 6월민주항쟁은 우리나라가 ‘국민이 주인’되는 민주국가로의 첫걸음이 되었으며, 시대의 다양한 요구와 바람들이 하나의 불꽃이 되어 시대의 물줄기를 완성한 한국 현대사의 큰 울림이었습니다. 특히 부산은 흔들리던 6월민주항쟁의 불씨를 견고히 지켜냈던 ‘민주화의 성지’가 되었습니다. 부산의 6월민주항쟁, 87년의 우리들이 그랬던 것처럼 오늘날의 우리도 다양한목소리와 표현으로 우리의 유월을 기억하고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6월민주항쟁 35주년 기념 부산시민문화제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 |
![]() |
![]() |
![]() |
![]() |
![]() |
---|---|---|---|---|---|
공지 | 민주공원과 함께하는 2022년 6월 민주달력 ![]() |
관리자 | 2022-05-31 | 541 | ![]() |
-44512 | 민주공원 직원 채용 공고 | 관리자 | 2004-12-23 | 1980 | |
-44513 | 국가보안법 연내폐지 단식농성 소식과 모금 호소 | 관리자 | 2004-12-16 | 1696 | |
-44514 | 제6기 교사직무연수 신청안내 '부산현대사 체험학습 교사직무연수' | 관리자 | 2004-12-12 | 1924 | |
-44515 | 민주공원과 함께 할 2005년 자원활동가를 모집합니다 | 관리자 | 2004-12-12 | 1598 | |
-44516 | 국가보안법 폐지, 1만인문화제 | 관리자 | 2004-12-03 | 1673 | |
-44517 | 11월, 12월 민주공원은 중3/고3과 함께 합니다. | 관리자 | 2004-11-15 | 1642 | |
-44518 | 11월 회원가족한마당 꼭 확인하여 주세요*^^* | 관리자 | 2004-11-09 | 1676 | |
-44519 | 2004 고3생을 위한 민주시민한마당 | 관리자 | 2004-11-06 | 1652 | |
-44520 | [공연취소]젊고 푸른 춤꾼한마당 취소 | 관리자 | 2004-11-06 | 1647 | |
-44521 | 파란아이들 누리의 노래 | 관리자 | 2004-11-04 | 1845 |
민주공원은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시로부터 수탁·운영하고 있습니다.
안내전화 051-790-7400 / 전송 : 051-790-7410 / 메일 : demopark@demopark.or.kr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 (우48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