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 | ||
---|---|---|---|
![]() |
1613 |
![]() |
관리자 |
![]() |
2020-07-16 오전 11:48:04 |
![]() |
417 회 |
![]() |
보도자료_2020민중미술 오디세이 03 - 민중미술의 현장② 탈핵미술행동 2020_20200716.hwp |
||
![]()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 - 7월 11일(토)부터 25일(토)까지, 원도심창작공간 또따또가 갤러리 - 6월민주항쟁 33주년 기념전시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섹션 3 1. 6월민주항쟁 33주년 기념전시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의 3번째 섹션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가 7월 11일(토)부터 25일(토)까지 원도심창작공간 또따또가 갤러리에서 열린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2.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는 2013년부터 시작한 <민중미술전>의 연장으로, 올해는 총 6개 섹션으로 진행되고 있다. <민중미술의 현장>은 사회운동과 함께 호흡하며 탄생한 80년대 민중미술의 현장을 재조명하는 동시에 지금, 여기의 민중미술의 의미와 역할을 되물으며 그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미술담론의 지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3.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는 지난 몇 달간 영광, 월성, 고리, 서생 핵발전소 인근 현장에서 직접 미술행동을 한 작가들의 결과물을 한데 모은 전시이다. 현장에서 진행한 설치, 행위예술, 현장 드로잉, 음악 공연 퍼포먼스 등 미술행동을 토대로 제작한 영상(애니메이션), 설치, 회화 등의 작품을 펼쳐 보인다. 4. 탈핵미술행동은 지난해 10월 영광 핵발전소 인근에서 광주, 전남지역과 수도권 작가들이 처음 시작했다. 올해 초 울산지역과 광주, 전남, 수도권 작가들이 월성 핵발전소 인근에서 미술행동을 함께했으며, 지난 6월 21일 부산지역 작가들이 고리·서생 핵발전소 인근 방파제에서 미술행동을 진행했다. 5. 탈핵미술행동 부산 작가들은 “미술행동은 전시장 미술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좋은 장점이 있었다”며 “관객과의 소통뿐 아니라 핵발전소라는 현장이 주는 강한 장소성으로 인해 탈핵미술의 메시지가 한층 강화되었고, 현장과의 화학적 작용으로 인한 독특한 조형성 또한 가능했다”고 말했다. 6. 이번 전시에는 부산을 포함 광주, 전남, 울산, 수도권 작가와 일본 미술인 등 26명이 함께한다. 고근호, 김은애, 김화순, 김희련, 노주련, 박건, 박건, 박성우, 박영균, 박태규, 방정아, 배인석, 손채수, 승지나, 야마구치 이즈미, 양갑수, 이선일, 전미경, 전정호, 전혜옥, 정철교, 주홍, 천현노, 토다밴드, 하미화, 홍성담, 홍성민(가나다순) 7.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는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주최하며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는 민중미술2020추진위원회, 민주공원, 원도시창작공간또따또가, 원도심예술가협동조합 창, 부산민예총 시각예술위원회, 민족미술인협회 울산지회, 민족미술인협회 광주지회, 생명평화미술행동이 공동 주관한다.
|
![]() |
![]() |
![]() |
![]() |
![]() |
![]() |
---|---|---|---|---|---|
123 | 김종기 민주공원 9기 관장 임기 시작, 23년까지 | 관리자 | 2021-01-18 | 30 | ![]() |
122 | 민주공원 9기 관장, 김종기 현 관장 선출 | 관리자 | 2020-11-27 | 246 | ![]() |
121 | 민주항쟁기념 학술 토론회 <왜 부산에 민주주의 사료관이 필요한가> 개최 | 관리자 | 2020-11-04 | 226 | ![]() |
120 | 제29회 민주시민상 수상자 선정 | 관리자 | 2020-10-13 | 279 | ![]() |
119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 민중미술의 현장④ 영호남현실주의예술가연대 - 5.18을 산점직시하다 | 관리자 | 2020-08-10 | 582 | ![]() |
118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06 - 로컬리티의 영상학 | 관리자 | 2020-08-06 | 368 | ![]() |
117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04 - 민중미술의 현장③ 또따또가 - 근면한 전시, 성실한 예술가 | 관리자 | 2020-08-06 | 546 | ![]() |
116 | 민주공원 소극장 8월 22일 연극 코뿔소 공연 | 관리자 | 2020-08-05 | 366 | ![]() |
115 |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 | 관리자 | 2020-07-16 | 417 | ![]() |
114 | <민중미술가열전 Ⅴ 박경효 ? 아재아재발랄아재국뽕스바하> | 관리자 | 2020-07-08 | 445 | ![]() |
민주공원은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시로부터 수탁·운영하고 있습니다.
안내전화 051-790-7400 / 전송 : 051-790-7410 / 메일 : demopark@demopark.or.kr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 (우48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