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기 민주공원 9기 관장 임기 시작, 23년까지 | ||
---|---|---|---|
![]() |
1621 |
![]() |
관리자 |
![]() |
2021-01-18 오후 4:05:13 |
![]() |
87 회 |
![]() |
보도자료_김종기 민주공원 9기 관장 임기 시작_20210118_20210118.hwp |
||
김종기 민주공원 9기 관장 임기 시작, 23년까지 - 민주공원 부속 사료관 안정적 추진 위해 노력 1. 김종기 9기 민주공원 관장이 2021년 1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했다. 임기는 2023년 12월 31일까지로 3년이다. 김종기 관장은 지난 2020년 11월 26일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이사장 문정수)의 임시이사회에서 9기 민주공원 관장으로 선출됐다. 2. 김종기 관장은 지난 2017년 민주공원 8기 관장으로 선출되어 2018년부터 민주공원 관장으로 일했으며, 이번 9기 관장에 선출되면서 민주공원 최초의 연임 관장이 되었다. 민주공원 관장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의 상임이사를 겸직한다. 3. 김종기 관장은 1987년 6월민주항쟁 당시 부산가톨릭센터 농성단 대표를 맡았다. 부산가톨릭센터 농성은 서울의 명동성당 농성이 종료되고 다른 지역에서 항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든 시기 6월민주항쟁의 불씨를 되살린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후 1988년 청년학교를 조직하고 부산민주청년회 초대 교육부장을 역임하며 시민교육가로 활동을 시작하였고 부산대학교와 독일 훔볼트대학교에서 사회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민주주의사회연구소 부소장 등을 역임했다. 4. 김종기 관장은 8기 민주공원 관장 임기 중 확정된 민주공원 부속 사료관 건립의 안정적인 추진에 힘을 쏟고자 한다. 전체 예산은 150억 원(국비 75억, 시비 75억)으로 2024년 완공 예정이며 건립부지는 광복기념관과 중앙도서관 사이의 나대지이며, 현재는 설계공모를 앞두고 있다. 김종기 관장은 “민주공원 부속 사료관 건립을 통해 민주공원이 학술과 사료, 공연과 전시의 메카이자 민주화운동과 예술문화 아카이브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한다. 부속 사료관 건립을 위해 민주공원 소장 사료·미술품을 전수 조사하고 체계적인 아카이브 시스템과 자료 검색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5. 더불어 김종기 관장은 1987년 전국이 뜨거웠던 6월민주항쟁의 국가기념식을 서울에서만 개최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개최하는 전국 순회 개회 형식을 추진, 2022년 6월민주항쟁 제35주년 국가기념식을 부산에서 개최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자 한다. 6월민주항쟁 국가기념일 부산 개최와 민주공원 부속 사료관 착공식을 함께 열어 시너지 효과를 내고자 한다. 6. 지금의 민주공원 들꽃나무뜰에 아울러 야생화동산을 만들어 시민들의 나들이 장소이자 휴게 공간이 되도록 하고, 민주항쟁기념관 원형램프에 한국 민주주의 파노라마 벽화를 그려 독립운동에서부터 촛불혁명까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의 연속적인 역사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민주탐방 댓돌을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찾아가는 민주공원’ 프로그램 등 대시민 서비스를 강화하여 시민과 함께할 수 있는 민주시민교육, 민주화운동 정신 기념·계승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7. 김종기 관장은 8기 민주공원 관장으로 일하며 민주공원 부속 사료관 건립의 토대를 마련한 것은 물론, 2013년 ‘민주공원 예산 삭감 사태’로 줄어든 민주공원의 예산을 인상하고 당시 직원 수 이상으로 인력을 증원했다. 또 부마민주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범시민추진위원회 활동에 앞장섰으며 동시에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설립의 주춧돌 역할을 했다.
|
![]() |
![]() |
![]() |
![]() |
![]() |
![]() |
---|---|---|---|---|---|
124 | 故 백기완 선생 시민분향소 민주공원에 마련 | 관리자 | 2021-02-15 | 29 | ![]() |
123 | 김종기 민주공원 9기 관장 임기 시작, 23년까지 | 관리자 | 2021-01-18 | 87 | ![]() |
122 | 민주공원 9기 관장, 김종기 현 관장 선출 | 관리자 | 2020-11-27 | 307 | ![]() |
121 | 민주항쟁기념 학술 토론회 <왜 부산에 민주주의 사료관이 필요한가> 개최 | 관리자 | 2020-11-04 | 285 | ![]() |
120 | 제29회 민주시민상 수상자 선정 | 관리자 | 2020-10-13 | 337 | ![]() |
119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 민중미술의 현장④ 영호남현실주의예술가연대 - 5.18을 산점직시하다 | 관리자 | 2020-08-10 | 647 | ![]() |
118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06 - 로컬리티의 영상학 | 관리자 | 2020-08-06 | 422 | ![]() |
117 | 2020 민중미술 오디세이 04 - 민중미술의 현장③ 또따또가 - 근면한 전시, 성실한 예술가 | 관리자 | 2020-08-06 | 602 | ![]() |
116 | 민주공원 소극장 8월 22일 연극 코뿔소 공연 | 관리자 | 2020-08-05 | 423 | ![]() |
115 | <민중미술의 현장② - 탈핵미술행동 2020 - 고리·서생 핵발전소> | 관리자 | 2020-07-16 | 477 | ![]() |
민주공원은 부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공간으로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시로부터 수탁·운영하고 있습니다.
안내전화 051-790-7400 / 전송 : 051-790-7410 / 메일 : demopark@demopark.or.kr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 19 (우48901)